Kotlin 고급 문법
2021. 12. 9.
1. 람다 파이썬과 js에서 좀 봤던 친구가 나온다. 알고리즘 문제를 풀 때 모를 때마다 찾아봤던 친군데, 객체지향 성격을 띠는 코틀린에서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큰 장점인 람다가 있다는 게 신기했다. 우선 람다의 유용한 점을 살펴보자. 첫 번째로, 매소드의 파라미터로 함수를 넘겨줄 수 있다. 두 번째는 파라미터뿐만 아니라 return값에도 함수처럼 넘겨줄 수 있다. 람다의 기본형식은 다음과 같다. val lambdaname : Type {argumentlist -> codeBody} 위와 같은 형태로 적어주면 된다. 쉽게 말해서 람다로 계산하고 싶은 변수를 argumentlist에 넣어주고, 계산 식, 리턴 값을 codeBody에 넣어주면 람다식을 완성할 수 있다. 람다식을 위와 같이 작성해 보았다. 둘의..